청년도약계좌 꼭 해야 하는 이유
청년들의 자산형성을 위해 만들어진 정책형 금융 상품으로 매월 7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고, 5년 만기인 적금이다. 적금 납입 시, 5000만 원 정도의 목돈이 마련 가능하다.
또한 정부기여금과 비과세혜택이 있어서, 일반적금보다 목돈 모으는데 훨씬 효율적이다.
2023년 6월부터 가입신청이 가능한 청년도약계좌는, 매월 2주동안 신청을 받고, 2~3주 내로 심사 후 결과 통보를 한다.
주의할 점은 청년 희망적금과 중복가입이 되지 않는다. 따라서 도약계좌를 하고 싶다면 희망적금을 해지하고 가입할 수밖에 없다. 청년내일저축계좌와 채움공제는 중복가입이 가능하다!
청년도약계좌 신청조건
나이 : 만 19세~36세 (병역 이행한 경우에는 최대 6년까지 연령계산 적용 X)
소득조건 : 연간 총 급여 7500만원 이하
* 총급여 6000만 원 이하까지 정부기여금 지급, 비과세 적용
* 총급여 6000만 원~7500만 원은 비과세만 적용]
* 비과세 : 국세청 등이 세금을 부과하는 과세권이 처음부터 없는 것으로, 세금자체가 발생하지 않아서 신고 의무가 없다.
가구소득기준 : 중위소득 180% 이하
* 중위소득 : 총가구를 소득순으로 나열하여 차례를 정할 때, 한가운데를 차지하는 가구의 소득
<2023년 기준 중위소득>
1인가구 : 2,077,892
2인가구 : 3,456,155
3인가구 : 4,434,816
4인가구 : 5,400,964
5인가구 : 6,330,688
6인가구 : 7,227,981
청년도약계좌 만기수령액 및 꿀팁
만기수령액 = 본인납입금 + 정부기여금 + 경과이자
꿀팁! >> 개인소득이 낮을수록 지원이 많다. 그러므로 총 급여 기준 4800만원 이하인 사람들은, 월 납입한도를 40만원~60만원으로 한도조정을 하길 바란다.
<기여금 지급 한도>
개인소득 | 기여금 지급한도(월) | 기여금 한도 |
2400만원 이하 | 40만원 | 2.4만원 |
3600만원 이하 | 50만원 | 2.3만원 |
4800만원 이하 | 60만원 | 2.2만원 |
6000만원 이하 | 70만원 | 2.1만원 |
청년도약계좌 예시
70만원씩 5년간 적금을 넣는다면, 70만원X12개월X5년=4,200만원
여기에 정부가 주는 기여금(2.1만원 기준)을 더하면 2.1만원X12개월X5년=126만원
연 이자가 6%라고 계산하면, 이자는 640만 5천원
4,200만원 + 126만원 + 640만 5천원 = 4,966만 5천원 !
소득요건만 된다면 정말 매력있는 목돈이 탄생한다. 월 70만원인데 안하면 바보아닌가?
5년이라는 기간때문에 안하고싶다는 사람들은, 주식이나 다른 투자로 이자와 기여금 만큼 벌 자신이 있다면 하지 않아도 된다. 그런데 내가 살면서 투자를 해보니, 신경안쓰고 이자받는 예금이나 적금 나을 때도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.
젊은 친구들이 목돈을 만들기엔 정말 좋은 상품이고, 나라에서 지원해주는 것이니 꼭 관심갖고 진행하는 것을 추천한다.